nodejs

🤔 Git 은 어떻게 사용하지?

juju824 2020. 9. 9. 23:07

terminal 켠 뒤 

내가 git repo를 만들고 싶은 곳으로 이동 => cd desktop/juju (ex. juju라는 파일에 만들고 싶을 때)

$ git clone “~~~주소” (repo 주소)

👉확인하면 짜란, 깃이 연동되어 있는 나만의 프로젝트 파일이 만들어졌다!

 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“github 이름”

(ex. git config global user.name "juju")

$ git config –-global user.email “github 이메일”

👉 이렇게 global로 설정해주면 내 이름 juju로 깃에서 활동이 가능해졌다!

 

 브랜치 만들기

$git branch <브랜치명>

$git branch juju (ex. juju라는 브랜치를 만들고 싶다?)

 

 브랜치 이동하기

$ git checkout juju <나의 브랜치명이 juju일때>

브랜치 확인시 'git branch'를 치면
'''
master

* juju
👉 juju 브랜치 앞에 * 표가 되어 있다면 현재 나는 branch juju 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

'''

 코드 수정 전

$ git pull
혹은
$ git pull origin juju

 

 내 브랜치에서 작업 시작 

작업 시작 시 개인 브랜치에서
$ git pull origin master
👉 master 코드 pull 받아오고 시작해야 꼬이지 않는다!

 

 코드 수정 후

  1. git status -> 현재 staging 확인 가능
  2. git add .
  3. git commit -m “ “ -> 따옴표 안에 원하는 커밋 메세지 입력
  4. git push
  5. git homepage들어가서 확인 ' 내 브랜치에 잘 올라가 있나? '

📌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 시에 꼬이기 쉬운  💫 merge 💫
 브랜치 변경 => git checkout master

$ git pull origin master (다른 사용자가 push 한 거 먼저 받아주기)
$ git merge juju (개인 브랜치가 juju일 경우)

  • 충돌(conflict) 이 없는 경우
  1. msg: auto-merging
  2. git push
  3. 홈페이지 들어가서 업데이트 확인
  • 충돌이 일어날 경우
  1. 오류 msg: Automatic merge failed; fix conflicts and then commit the result.
  2. 소스코드 확인하면서 accept 해줌
    => current Accept (변경 이전의 코드를 accept 하겠다) / Incoming Accept (변경 이후의 코드를 accept 하겠다)
  3. git add .
  4. git commit -m “ “ -> 따옴표 안에 원하는 커밋 메세지 입력
  5. git push
  6. 홈페이지 들어가서 업데이트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