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클라우드 서비스 배포 모델
환경의 특정 형태로 소유권과 규모, 접근 방식에 따라 분류
✔️공용 (Public Cloud)
클라우드 컴퓨팅 배포하는 가장 일반적 방법
클라우드 제공자가 소유하고 운영, 인터넷을 통해 다수에게 제공
유상/ 무상 모두 가능 => 종량제과금방식이용
클라우드 제공자의 책임 : IT 자원 지속적 관리
ex) AWS, Microsoft, IBM, Google
👉POS
비용 절감 -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구매하지 않아도 됨/ 사용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지불
유지 관리 필요 없음 - 제공자가 유지관리
확장성 - 주문형 resource 사용
안정성 - 광대한 서버 네트워크 사용, 실패 방지
👉CONS
보안 취약성 - 다수의 클라우드 소비자가 IT 자원 풀링을 통해 서비스 이용
환경의 제약 -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어하기 때문
제한된 이식성 - 클라우드 제공자 사이
ex) IaaS는 A 업체에서, PaaS는 B업체에서 ... 이럴 순 없다
법적 문제 -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와 IT 자원의 위치로 인해
✔️프라이빗 (Private Cloud)
서비스 사용자가 기업 내부 비즈니스 위해 자체적 구축
독립적 구축, 직접 관리 및 운영
독점적 사용하는 컴퓨팅 리소스로 구성
사용자가 제공자가 되는 것임
서비스와 인프라는 프라이빗 네트워크에서 유지 관리
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조직에서만 전용으로 사용
ex) 정부 기관, 금융 기관
👉POS
높은 확장성 - 퍼블릭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효율성 제공 가능
높은 보안 - 리소스 공유를 안하므로 제어와 보안 수준 강화 가능
유연성 향상 -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 가능
✔️하이브리드 (Hybrid Cloud)
공용 + 프라이빗 클라우드 : 둘 사이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이동이 가능,
향상된 유연성, 많은 배포 옵션
민감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, 덜 민감한 데이터는 공용 클라우드에 배포
👉POS
제어 - 사용자가 데이터의 프라이빗 인프라 유지 및 관리
유연성 - 필요시 공용 클라우드에사 추가 리소스 활용
비용 효율성 - 필요할 때만 추가된 컴퓨팅 기능 사용, 지불
👉CONS
클라우드 환경간 차이
인터페이스 표준화, 통합관리 플랫폼 필요
많은 고려사항 - 프라이빗/ 공용 클라우드 제공자 사이의 관리 책임 분리
✔️커뮤니티 (Community Cloud)
공용 클라우드와 유사, 프라이빗과 공용의 중간
특정 커뮤니티의 클라우드 소비자만 접근이 허용
공통의 목적을 가지는 특정 기업간 형성되는 커뮤니티가 데이터 센터에서 공동으로 운영
커뮤니티 구성원은 클라우드 정의 및 발전 책임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🔑 클라우드의 보안 (0) | 2020.10.03 |
---|---|
📡 네트워크의 종류에는 ? (0) | 2020.09.26 |
➿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(0) | 2020.09.25 |
🖥 컴퓨터의 발전과정은 ? (0) | 2020.09.25 |
🖥 컴퓨터의 종류에는? (0) | 2020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