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67

@Multipart 이용 시 이미지 업로드가 안돼요!, 내용은 안가고 껍데기만?

2020/09/28 - [Android] - @Multipart 이용하여 이미지 서버로 업로드하기 @Multipart 이용하여 이미지 서버로 업로드하기 ❓ 서버에서 @multer 모듈을 사용했을 경우 안드로이드에서는 S3로 어떻게 이미지를 업로드 할까 ❓ 아무리 구글링을 해봐도 내가 겪었던 문제들은 안 가르쳐주었기에 한번 개발 초보인 내가 정리 juju-marooooo.tistory.com ✔️ 이미지 업로드 시 코드는 이 포스팅을 이용해서 잘 적었는데 이 코드대로 해도 내용이 제대로 올라가지 않아서,, 이렇게 오류가 뜬다 🥺🥺 ✔️S3를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수동으로 내가 디비에 넣은 사진은 237.09KB인데 내가 안드로이드에서 건내준 사진은 331.0 B ❓❓🙀❓❓ 껍데기만 가고 내용은 하나도 들어가..

Android 2020.09.28

@Multipart 이용하여 이미지 서버로 업로드하기

❓ 서버에서 @multer 모듈을 사용했을 경우 안드로이드에서는 S3로 어떻게 이미지를 업로드 할까 ❓ 아무리 구글링을 해봐도 내가 겪었던 문제들은 안 가르쳐주었기에 한번 개발 초보인 내가 정리를 해보겠다! ✔️ 인터넷을 통해 이미지를 업로드 해주므로 permission 허용해주기 👇 Androidmanifest.xml 👇 //아주 중요하다! ✔️ ServiceApi에 @multipart 추가하기 👇 ServiceApi.java 👇 @Multipart @POST("/user/profile") //프로필 사진 업데이트 Call profile (@Part MultipartBody.Part profile, @Header("token") String token); ✔️Response 받는 부분 👇 Profile..

Android 2020.09.28

Glide : 안드로이드 이미지 Url에서 불러와서 이미지뷰에 보여주기

❓ 인터넷에서 이미지 불러와서 이미지 뷰에 보여주기❓ 이미지 뷰에 보여지는 방법을 찾아보다 아주 편리한 방법을 찾았다 Glide 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우선, build.gridle에 glide 👇 build.gridle 👇 //build.gridle dependencies { implementation "com.github.bumptech.glide:glide:4.10.0" } ✔️ Myinfo를 불러오기 위한 통신 Response 👇 network/MyinfoResponse 👇 package ... import java.util.List; public class MyinfoResponse { private int status; private boolean success; private S..

Android 2020.09.28

Android Studio : 갤러리 사진 ImageView로 가져와서 보여주기

❓Q 어떤부분인가❓ Android Studio Programming을 하다보면 어떤 이미지 뷰에 갤러리 사진을 불러와서 띄우고 싶을 때가 있다. 👉 나같은 경우 갤러리 사진을 가져와서 내 정보 페이지 프로필 사진에 띄우는 경우 ✔️ 우선, 내가 사진을 띄울 ImageView 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나의 ImageView는 Profile이라는 이름을 가진 친구였다 👇 MyprofileTab.java 👇 ImageView imageView = findViewById(R.id.profile); //profile imageView 에 사진 넣는 경우 imageView.setOnClickListener(new View.OnClickListener() { @Override public void onClick(Vi..

Android 2020.09.28

📡 네트워크의 종류에는 ?

👉 사용용도, 크기, 기능에 따라 분류해보자 👉 서비스 범위에 따라 분류해보자 ✔️ 근거리 통신망 LAN (Local Area Network) -수 킬로미터 내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, 각종 기기 연결 -구축한 사용자가 직접 관리 및 운영 -한 조직이 사용하는 컴퓨터와 기기들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 -주로 전용선 이용 ex) Ethernet, Wifi ❓ETHERNET? 유선 LAN 하나의 공통 선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MAC (물리적 주소) 사용, 서로 데이터 주고 받는 방식 ❓WIFI? 무선 LAN 무선랜 카드(안테나가 부착되어있다)를 통해 무선접속 장치와 통신 무선접속 장치는 LAN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. 인터넷 - LAN - 무선접속장치 ...))))) 무선으로 스마트폰, 노트북 연결 스마트폰과 ..

cloud 2020.09.26

🌨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분류는?

📌 클라우드 서비스 배포 모델 환경의 특정 형태로 소유권과 규모, 접근 방식에 따라 분류 ✔️공용 (Public Cloud)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하는 가장 일반적 방법 클라우드 제공자가 소유하고 운영, 인터넷을 통해 다수에게 제공 유상/ 무상 모두 가능 => 종량제과금방식이용 클라우드 제공자의 책임 : IT 자원 지속적 관리 ex) AWS, Microsoft, IBM, Google 👉POS 비용 절감 -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 구매하지 않아도 됨/ 사용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지불 유지 관리 필요 없음 - 제공자가 유지관리 확장성 - 주문형 resource 사용 안정성 - 광대한 서버 네트워크 사용, 실패 방지 👉CONS 보안 취약성 - 다수의 클라우드 소비자가 IT 자원 풀링을 통해 서비스 이용 환경의 제약..

cloud 2020.09.25

➿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

📌 네트워크란 Network, 전송 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의 모음 연결된 공동체처럼 생각하면 된다 📌 노드 (Node)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리키는 일반 용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 📌 호스트 (Host) 컴퓨터 기능이 있는 시스템 📌 서버 (Server)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📌 클라이언트 (Client)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👉 모든 서버는 호스트가 되지만 모든 호스트가 서버가 되는 것은 아니다 📌 프로토콜 (Protocol) 많이 사용되는 단어! 정보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👉 통신을 할때 말이 통해야 대화를 하고 알아듣고 할 수 있기 때문에 ex) 나랑 인도어 쓰는 사람이랑 소통이 되겠는가? 통신과 관련된 형식과 절차에 따른 규정 메시지 종류, 형식..

cloud 2020.09.25

🖥 컴퓨터의 발전과정은 ?

❓클라우드 카테고리인데 왜 자꾸 컴퓨터 이야기를 할까❓ 클라우드를 이해하기 위해선 IT 를 알아야 하고 기본적인 컴퓨터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한다 난 그렇게 생각한다,, IT 인프라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클라우드 개념도 이해가 확실히 잡히는 것 같다. ✔️찰스 바베지 (Charles Babbage)의 차분기관 과 해석기관 => 설계만하고 직접만들진 않았다. 차분 기관 : 1822년에 다항 함수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해석 기관 : 1837년에 사칙연산과 제곱근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✔️1940년대 전자식 컴퓨터 등장 기계식 연산장치를 전자회로가 대체하는 현대적 의미의 컴퓨터가 등장 👉1941 독일 콘라트추제 (Konrad Zuse) Z3컴퓨터 제작, 이진법 사용 👉1942 미국 ABC 제작, 최초 전..

cloud 2020.09.25

🖥 컴퓨터의 종류에는?

📌처리 능력에 따른 분류 처리 능력 => 성능, 사용자 수, 가격 1. 슈퍼 컴퓨터 처리 속도 굉장히 빠름 여러 텀퓨터를 묶어 병렬로 이용 거대용량의 초고속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를 칭하는 게 아니라 계산 처리 속도를 높은 순으로 1-500위를 매기는 것. 고성능 컴퓨터, 슈퍼 컴퓨터라 부르는 것이다! 👉어디에 사용 ? 과학기술 연산, 기상 예측, 군사용에 사용 2. 대형 컴퓨터 (Mainframe) 1초에 수억개 이상의 명령어 처리할 수 있는 고속 컴퓨터 다수 이용자가 공유하고 사용하는 분산처리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 👉어디에 사용 ? 서버로 많이 사용, 통계 데이터나 금융 업무 등의 복잡한 데이터에 사용 3. 미니 컴퓨터 (Mini computer) 이전엔 Workstation 과 따로 분류 하였는데 이..

cloud 2020.09.25

😄 컴퓨터에 대한 기본 개념잡기

📌 컴퓨터란? 기본적으로 계산 하는 기계 (계산 compute!) 프로그램이 지시하는 절차에 따라 자동으로 대량의 데이터 고속으로 처리하는 장치 👉 자료 (Data) => 처리 (Process) => 정보 (Infromation) 👉 응용 소프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/// 운영체제 하드웨어 📌하드웨어란?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장치의 집합체 📌중앙처리 장치란? CPU ( Central Processing Unit ) 👉 제어 장치, 연산 장치, 레지스터로 구성, => 인간의 뇌! -연산 장치 (ALU : Arithmetic Logic Unit) : 산술연산과 참/거짓 판별을 논리 연산 -제어 장치 (Control Unit) : 적절한 순서로 명령을 꺼내고 해석한 뒤에 결과에 따라 컴퓨터의 시스템의 각..

cloud 2020.09.25